본문
|
[타임즈창원]정부가 추진한 ‘어촌뉴딜300’ 사업의 대표 모델로 꼽히던 창원 마산합포구 진전면 시락마을 해상펜션의 실체를 들여다 보면 충격 그자체다.
약 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설치된 이 해상펜션 시설이 지난해 발생한 화재 사고 이후 흉물처럼 방치되면서 ‘어촌뉴딜300’ 사업 전반에 대한 신뢰마저 흔들리고 있다.
안전성을 강조한 시공 자재 및 철저한 관리 감독을 내세운 시행기관의 설명과는 달리, 현지 주민들은 "4억은커녕 5천만 원도 안 들어 보인다"며 ‘부실시공’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 난연성 자재라더니…‘자연발화’에 무너진 안전신화
|
해상펜션 화재는 지난해 6월 발생했다. 시락마을 앞바다에 띄운 해상펜션 5채 중 한 동에서 전기적 원인에 의한 자연발화가 발생했고, 불길은 순식간에 펜션을 집어삼켰다.
외장은 난연성 재질, 부력은 불연성 FRP 소재로 구성됐다는 설명이 있었지만, 실제 현장은 화염과 연기로 뒤덮였다.
한국농어촌공사 창원지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 결과, 전기적 요인에 의한 자연발화로 판단됐다"며"자재나 구조 자체의 결함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불연성 소재에 불이 붙고, 일부 펜션은 부력 구조까지 침하되면서 자재 성능 자체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1동 당 4억 원…예산 대비 실체는 ‘흉물’
|
해상펜션은 총 5동. 1동 당 약 4억 원이 투입됐다. 그럼에도 화재 이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준공검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하자 보수는 완료됐다”며 “전기안전공사와 해양교통안전공단 점검도 마쳤다. 6월 중 준공검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들과 지역 관계자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해상펜션 문제점을 제기한 A모씨는 "이미 중공되어 사용 중이었거나 실제 투숙객을 맞이했다면 더 큰 인명피해로 이어졌을 수도 있다"고 우려 하면서" ‘어촌뉴딜300’사업 예산 집행의 적절성에 대한 문제와 부실시공에 대한 관리감독의 소홀에 대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 “5천만 원도 안 든 수준”…주민들, 검찰 수사 촉구
|
현장을 지켜본 주민들의 반응은 격앙돼 있다. "겉보기엔 5천만 원도 안 든 것처럼 보인다.시공이 제대로 됐다고 보기 어렵다"며"창원해양경찰서에 수사를 요청했고, 국비를 유용했는지 여부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부 주민은 “FRP가 그렇게 쉽게 타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며 국과수 감정 결과에도 불신을 드러냈다.그러면서 “화재 현장에서 직접 화염이 치솟는 걸 봤고 시커먼 연기가 가득했다"며"해상펜션 자재의 성능과 시공의 진실성에도 의문이 든다"고 성토했다.
|
|
■ 120억 투입된 시락항 어촌뉴딜…책임은 어디에?
이 사업은 2022년 11월 창원시가 고시한 ‘시락항 어촌뉴딜300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됐다.
전체 사업비는 120억 원. 이 중 국비 81억4천만 원, 지방비 34억8천8백만 원, 자부담은 4억6천4백만 원이다. 사업 시행은 한국농어촌공사 창원지사가 위탁받아 수행했다.
전문가들은 "정부 재정이 투입되는 대규모 지역개발 사업은 시공 전후 전 과정에 걸친 철저한 관리와 점검이 필수적"이라며 "이와 같은 사례가 반복될 경우, 어촌뉴딜 사업 자체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 지역활성화 모델이 ‘안전 불감증’의 전시장이 되어선 안 된다.
해상관광 활성화, 어촌재생을 명분으로 내세운 어촌뉴딜300 사업. 그러나 시락마을 해상펜션 화재 사건은, 예산 집행의 투명성뿐 아니라 지역주민 안전에 대한 기본적 고려가 얼마나 미흡했는지를 보여준다.
공사는 준공검사 일정과 보완책을 강조하고 있지만, 주민들의 불신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정부와 시행기관은 지금이라도 철저한 진상 조사와 명확한 책임 규명을 통해 무너진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또 다른 지역에서 같은 ‘참사’가 되풀이될지 모른다.